중국에 투자하고 싶어서 ETF를 검색해보면
‘CSI300’, ‘항셍지수’, ‘H주’, ‘항셍테크’ 같은 용어가 계속 나옵니다.
이게 다 뭔지 헷갈리셨다면 이 글 하나로 정리해드릴게요!
✅ 1. CSI 지수 (China Securities Index)
- 풀네임: China Securities Index
- 운영기관: 중국증권지수유한공사(CSI)
- 대표 지수:
- CSI 300: 상하이증권거래소 + 선전증권거래소의 대형주 300개
- CSI 500: 중소형주 중심의 500개 기업
- CSI 100: CSI 300에서 대형주 상위 100개
- 상장 위치: 중국 본토 (상하이/선전 거래소) → A주 시장
- 특징:
- 중국 내수 기업 중심
- 중국 내 경제 흐름을 잘 반영
- 외국인 직접 투자 어려움 → QFII/ETF 등으로 우회
✅ 2. 항셍지수 (Hang Seng Index, HSI)
- 운영기관: 홍콩거래소(HKEX) 산하 Hang Seng Indexes Company
- 대표 지수:
- HSI (항셍지수): 홍콩 증시 상위 50개 대형주
- HSCEI (H주지수): 중국 국유기업 위주 H주 50개
- Hang Seng TECH: 기술 중심 (알리바바, 텐센트 등 포함)
- 상장 위치: 홍콩 증권거래소(HKEX)
- 특징:
- 해외 투자자 접근 쉬움
- 중국 대형 IT/금융/소비재 기업 포함
- 홍콩과 중국 경제에 모두 영향 받음
🧭 요약 비교표
항목 | CSI 지수 (예: CSI300) | 항셍지수 (HSI, HSCEI 등) |
---|
거래소 | 상하이/선전 (중국 본토) | 홍콩 (HKEX) |
주요 종목 | 본토 내 대형주 (A주) | 홍콩 상장 중국 대기업 (H주), 텐센트 등 |
투자 접근성 | 제한적 (외국인 직접 투자 어려움) |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ETF 다양 |
성격 | 내수 중심 | 중국+글로벌 노출 |
대표 ETF | KODEX China CSI300 | TIGER 차이나항셍테크, KODEX China H |
🔎 예시로 보는 차이
기업명 | CSI300 포함 여부 | 항셍지수 포함 여부 |
---|
알리바바 (BABA) | ❌ (본토 미상장) | ✅ (항셍테크) |
텐센트 (0700.HK) | ❌ | ✅ |
귀주모태주 (술 회사) | ✅ | ❌ |
공상은행 | ✅ | ✅ (H주) |
📊 중국 대표 ETF 추천 & 성과 비교 (2023~2024 기준)
구분 | ETF 이름 | 추종 지수 | 주요 구성 | 1년 수익률 (2024.4 기준) | 특징 |
---|
🇨🇳 내수 | KODEX China CSI300 | CSI300 | 중국 본토 대기업 | 약 -5% | 전통 내수 산업 중심 |
🏙️ 홍콩 | KODEX China H | 항셍 H주 | 국유 대기업 | 약 -10% | 중국 국유기업 다수 |
💻 기술 | TIGER 차이나항셍테크 | 항셍테크 | 알리바바, 텐센트 등 | 약 +8% | 중국 IT 기술 기업 중심 |
🔁 종합 | TIGER 중국소비테마 | CSI + 기타 | 중국 소비 관련 | 약 -2% | 내수 소비 회복 기대 |
수익률은 시점에 따라 달라지므로 참고용입니다.
최근 수익률 기준은 2024년 4월 기준이며 ETF 제공사의 공식 데이터 참고.
✅ ETF 추천 요약
- CSI300은 중국 본토 시장의 대형 내수 기업 중심
- 항셍지수는 홍콩 증시의 글로벌 노출된 중국 대기업 중심
- 투자를 고려할 때:
- 내수 경기 회복 기대 → CSI300
- 글로벌 중국 기업/기술 중심 투자 → 항셍지수나 항셍테크
내가 원하는 투자 방향은? | 추천 ETF | 왜 좋은가요? |
---|
중국 안쪽 회사들에 투자하고 싶어요 | KODEX China CSI300 | 중국 사람들이 자주 쓰는 물건 회사들이 많아요! |
중국의 큰 기업들에 투자하고 싶어요 | KODEX China H | 중국 정부가 운영하는 회사들이 많아요! |
알리바바, 텐센트 같은 IT 기업이 좋아요 | TIGER 차이나항셍테크 | 유명한 중국 인터넷 기업들이 들어 있어요! |
중국 사람들이 물건을 많이 사서 경제가 좋아질 것 같아요 | TIGER 중국소비테마 | 소비가 늘면 돈도 벌 있어요! |
📌 결론 (간단 정리!)
- 안정적인 중국 내수 시장에 투자 → CSI300
- 중국 대표 기업에 분산 투자 → 항셍 H주 ETF
- 중국판 테슬라, 넷플릭스에 투자하고 싶다면 → 항셍테크 ETF